카테고리 없음

건강보험료 디딤돌 대출 소득 증빙, 필수 정보 안내

승바이 2025. 4. 18. 17:59

디딤돌 대출은 무주택자나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게 주택 구입 자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러한 대출을 신청할 때, 소득 증빙이 중요한데요, 직장에 다니지 않거나 소득 증빙이 어려운 분들은 건강보험료를 활용하여 소득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강보험료를 이용한 디딤돌 대출 소득 증빙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디딤돌 대출 등도 주택 금융부채 공제…건보료 덜 낸다 - 연합뉴스

 

건강보험료로 소득 추정하기

인정소득이란?

인정소득은 직접적인 소득 증빙이 어려운 경우,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추정한 소득을 의미합니다. 디딤돌 대출 신청 시, 소득 증빙이 부부 합산 2,400만 원 이하인 경우 인정소득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건강보험료를 통한 인정소득 산정 방법

건강보험료를 활용하여 인정소득을 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1. 최근 3개월 평균 건강보험료 확인: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급받은 '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'를 통해 최근 3개월간 납부한 건강보험료를 확인합니다.

     

  2. 연환산 소득 계산: 확인한 3개월 평균 건강보험료를 0.035로 나누고, 그 결과에 12개월을 곱합니다.

    계산식: (3개월 평균 건강보험료 ÷ 0.035) × 12개월

  3. DTI 산정용 소득 계산: 위에서 구한 연환산 소득에 0.95를 곱하여 DTI(소득 대비 부채 비율) 산정용 소득을 구합니다.

     

    계산식: 연환산 소득 × 0.95

 

예를 들어, 최근 3개월 평균 건강보험료가 100,000원이라면:

  • 연환산 소득: (100,000원 ÷ 0.035) × 12개월 = 34,285,714원
  • DTI 산정용 소득: 34,285,714원 × 0.95 = 32,571,429원

 

이렇게 산정된 소득을 디딤돌 대출 신청 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디딤돌 대출 소득 조건 및 증빙 방법

디딤돌 대출 소득 조건

디딤돌 대출은 소득에 따라 대출 한도가 달라집니다. 2023년 11월 기준, 소득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무주택자: 부부 합산 소득 6,000만 원 이하
  •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, 미성년 자녀 2명 이상: 부부 합산 소득 7,000만 원 이하
  • 신혼 부부: 부부 합산 소득 8,500만 원 이하

 

소득 증빙 방법

소득 증빙은 신청자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:

  1. 근로소득자:

    •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
    •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

     

  2. 사업자:

    • 소득금액증명원
    • 사업자등록증

     

  3. 추정소득자:

    •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

     

건강보험료 주택 금융부채 공제

2024년 5월 21일부터, 건강보험 지역가입자가 실거주 목적으로 받은 디딤돌 대출과 버팀목 대출 등에 대해 '주택 금융부채 공제'를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 공제를 통해 재산에서 대출금액을 공제받아 건강보험료 부담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
 

주택 금융부채 공제 신청 방법

  1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:

  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.

     

  2. 주택 금융부채 공제 메뉴 선택:

    • 메뉴에서 '정책센터' > '국민건강보험'을 클릭합니다.

     

  3. 신청서 작성 및 제출:

    • 주택 금융부채 공제 신청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를 첨부하여 제출합니다.

     

자세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디딤돌 대출을 신청할 때, 건강보험료를 활용하여 소득을 증빙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. 또한, 주택 금융부채 공제를 통해 건강보험료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도 도입되었습니다.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디딤돌 대출 신청 시 소득 증빙에 어려움이 없으시길 바랍니다.

 

디딤돌 대출 등도 주택 금융부채 공제…건보료 덜 낸다 - 연합뉴스